환절기에 흔한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과 예방법
환절기에는 기온 변화와 건조한 공기, 꽃가루와 미세먼지 등으로 알레르기 질환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눈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이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다. 결막은 눈 흰자와 눈꺼풀 안쪽을 덮는 얇은 막으로,
외부 자극에 매우 민감하다.
여기에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면 눈이 충혈되고 가려움, 눈물이 나는 불편함이 생긴다.
이번 글에서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법을 정리해 보겠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란?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의 결막에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해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주요 원인: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반려동물 털, 곰팡이, 미세먼지
발생 시기: 특히 봄과 가을 환절기에 흔하다.
특징: 감염성 결막염과 달리 전염되지 않는다.
주요 증상
눈 가려움: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심하면 눈을 계속 비비게 된다.
충혈: 눈 흰자가 빨갛게 변한다.
눈물: 자극으로 인해 눈물이 과다하게 분비된다.
이물감: 모래알이 들어간 듯 껄끄럽게 느껴진다.
부종: 심한 경우 눈꺼풀이 붓는다.
--감기성 결막염은 며칠 내 호전되지만,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알레르겐 노출이 지속되면 증상이 반복된다.
치료 방법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생활 관리와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항히스타민제 안약: 가려움과 충혈 완화
스테로이드 안약: 증상이 심할 때 단기간 사용 (전문의 처방 필요)
냉찜질: 시원한 찜질팩으로 증상 완화
인공눈물: 눈 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알레르겐 세척
알레르기 결막염의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외출 시 보호
꽃가루·먼지가 많은 날은 선글라스와 마스크 착용
--청결 관리
집먼지 진드기를 줄이기 위해 침구·커튼은 자주 세탁
--외출 후 세안
눈가까지 깨끗이 씻어 알레르겐을 제거
--눈 비비지 않기
손에 있는 세균으로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다.
--정기 검진
증상이 잦으면 안과에서 정확한 진단 필요
나 역시 환절기마다 눈이 간지럽고 충혈되어 안과를 찾은 적이 있다. 처음에는 단순 피로 때문이라고 생각했지만,
진단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이었다. 의사 선생님은 “눈을 비비지 말고, 인공눈물을 꾸준히 사용하면 증상이 훨씬 덜해진다”고
설명해 주셨다. 실제로 생활 습관을 조금만 바꿔도 증상이 크게 완화되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흔하지만 방치하면 일상에 큰 불편을 준다.
증상이 반복되면 스스로 대수롭지 않게 넘기지 말고 반드시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환절기마다 찾아오는 불청객이지만, 생활 속 작은 습관 관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눈 건강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청결 관리와 조기 치료임을 잊지 말자.